본문 바로가기

Health& Clinic

골이식 수술 [임플란트]

【서울=메디컬투데이/뉴시스】

“잇몸이 없어서 잇몸을 뼈를 이식한다구요?”

이상현(40세, 가명)씨는 얼마전 브릿지로 보충했던 치아가 심하게 상해 이 기회에 인공치아(임프란트)를 심으러 치과에 갔다가 잇몸에 뼈가 부족해 인공으로 뼈를 보충하는 골이식수술을 받아야 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놀랐다.

“간단하게 치아를 보충하려 했을 뿐인데 골이식수술이라는 겁나는 수술까지 해야 한다니”라며 놀랐지만 동네있는 병원 중 절반정도가 시술할 수 있는 간단한 시술이라니 놀랄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제 동네 치과에서도 골이식 수술을 어렵지 않게 찾아 볼 수 있게 됐다.

치과에서의 골이식이란 뼈가 부족한 곳에 환자의 몸이나 특수한 가공을 거친 인조골을 이식하는 것으로 주로 가루 상태의 뼈를 잇몸에 집어넣어 잇몸의 생성을 돕는 시술이다.

치과에서 임플란트 시술이 활성화 됨에 따라 대형병원에서만 시행되던 골이식이 동네 병원에서도 어렵지 않게 찾아 볼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환자 입장에서는 이전보다 쉽게 골이식을 통안 잇몸뼈 보강을 쉽게 받게 됐다.

골이식에 주로 사용되는 것은 자가골, 즉 자기 자신의 뼈다. 그러나 다른 부위에서 뼈를 긁어 내는 수술을 한차례 더 하게 되므로 부담을 느끼는 이들이 많아 합성골의 사용도 최근 늘어가는 추세다.

◇ 가장 좋은 재료는 ‘자신의 뼈’

서울치대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의 김명진 교수에 따르면 과거 치과에서의 골이식이라고 하면 뼈가 결손된 곳에 사용됐다. 선천적으로 골 외소증이나 언청이가 있는 경우, 후천적으로 뼈 속에 종양등의 병소가 있거나 교통사고로 인해 이를 받쳐주는 뼈가 없을 경우 사용하는 것이 바로 골이식이었다.

최근에는 임플란트의 보급이 크게 늘어나면서 일반 개원가에서도 많이 사용하는 술식이 됐다. 이에 따라 일반 의원에서도 시술하는 예가 많이 늘어나 현재는 약 절반정도의 개원의들이 사용하는 술식이 됐다.

임플란트의 경우 최소 1cm의 뼈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에 못미치는 잇몸뼈를 보강하기 위해 많이 사용하게 된 것.

골이식에 가장 좋은 것은 역시 자신의 뼈다. 일산리빙웰치과의 김현철 원장은 “환자 입장에서 수술시간이 길어지고 다른 부위까지 아프다 보니 기피하는 경우가 많지만 유리한 점이 많아 우리 병원 시술 환자중 90%이상이 자가골 이식을 한다”고 밝혔다.

시술 방법도 많이 발전해 예전에는 엉덩이뼈나 갈비뼈에서 시술해야 하는 등 개인의원에서 시술하기 쉽지 않았다. 그러나 양이 적을 경우는 입 안에서 얻거나 임플란트 시술시 뚫는 구멍에서 생기는 이른바 본 더스트를 사용하는 예도 있어 부담이 덜해졌다.

자가골 외에 사용되는 재료는 동종골, 이종골, 합성골 등이 있다. 동종골은 사람의 뼈를 가공한 것을 재료로 한 것이며 이종골은 다른 동물의 뼈를 가공한 것을 사용하는 것을 가르킨다. 합성골은 인공적으로 만들어낸 뼈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다.

동종골은 완전히 사람의 뼈와 동일한 성분으로 가장 성공가능성이 높지만 출처에 따른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다른이의 뼈를 사용하는 만큼 시술시 국가에 신고해야 하는 등 관리가 까다롭다.

그러나 시신을 합법적으로 구하기 어렵고, 최근 미국 장의사에서 시체를 유기해서 뼈를 체취, 한국와 호주에 팔았다는 보고가 있는 등 사용이 점차 어려워지는 추세다.

이종골은 다른 동물의 뼈를 재료로 사용하는 것이다. 소뼈가 가장 많이 사용돼 왔으나 광우병 파문 등으로 꺼리는 이들도 있다. 소뼈 외에 발이나 돼지의 뼈가 사용되기도 한다. 국내에서는 돼지뼈가 최근에 출시 됐으나 아직 사용된 예가 드물다고.

실제로 소뼈가 사용됨에 따른 교차감염률은 매우 낮은 편으로 국내에서 보고된 바는 거의 없다고 한다. 다만 시술의 난이도가 높아, 골형성 실패로 인한 실패는 보고되고 있다. 이 경우는 그렇게 심각한 합병증 등을 유발하지는 않아 대부분 재수술로 해결된다.

합성골은 동종골과 이종골의 사용이 어려워지면서 최근 각광받는 재료다. 사람 뼈의 주재료인 무기질을 인공적으로 합성한 것으로 이종골에 비해 가격도 많이는 절반까지 가격이 저렴하다.

현재까지는 동물뼈를 사용한 이종골이 구하기 쉬워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만에 하나100% 감염에서 자유롭지 않아 합성골 사용이 늘어갈 추세다.

최근 합성골을 시판하기 시작한 대웅제약의 관계자에 따르면 합성골의 현재 시장 점유율은 20%에 달하며 앞으로는 더 늘어갈 것이라고 한다. 합성골의 주재료를 생산하는 기술의 특허가 종료돼 가격이 저렴해져 앞으로 더 많이 사용될 예정이다.

◇ 여전히 난이도 높은 골이식...일부 합병증 우려도

골이식은 기술 발전과 가격 하락에 따라 앞으로 더욱 많이 사용될 추세다. 실제로 임프란트 시술의 경우 잇몸의 보강 상태에 따라 성공 가능성과 사용 기간에도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가능하다면 골이식 수술이 좋은 영향을 끼친다.

일선 집도의들에 따르면 골이식을 한다고 해서 더 많은 비용이 크게 많이 들어가지는 않는다고 한다.

골이식은 보험항목이지만 임플란트에 사용되는 골이식은 보험처리가 되지 않아 부담될 수 있지만, 많은 경우 종합병원에서는 이를 보험항목으로 처리해 주기도 하며 개인병원에서도 따로 시술료를 청구하기 보다는 시술료를 좀 더 올려받는 정도지만 이마저도 우수한 국산제품의 출시와 재료비의 하락으로 많이 저렴해진 상태라고 한다.

그러나 골이식과 같은 외과적 수술은 난이도가 상당히 높으며 합병증의 위험을 동반한다. 많은 경우 시술 실패는 뼈가 생성되지 않아 재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지만 상처부위의 오염도 보고되고 있다.

치과에서의 시술 실패는 의료사고이지만 소비자보호원에서 조정되는 경우가 많아 환자 스스로 경험 많은 치과의사를 찾을 필요가 있다. 어려운 수술의 경우 큰 병원이나 대학병원을 찾는 것이 현명하다.

김현철 원장은 “숙련된 의사가 집도해야 합병증이 생길 우려가 적다”며 합병증이 생길 경우 얼굴의 모양이 변하기도 한다며 경험이 풍부한 집도의를 통해 시술 받을 것을 권했다.

이동근 기자 windfly@mdtoday.co.kr

'Health& Clin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삼과 스테미너  (0) 2009.11.26
식이섬유 염증을 억제한다  (0) 2009.10.30
`낙지`최고의 스테미너 식품  (0) 2009.10.24
갑상선 질환[펌]  (0) 2009.09.18
식생활 습관  (0) 2009.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