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에서는 CMA, MMF, RP... 이런 것들이 재테크의 기본이라고 하는데, 도대체 무슨 소리인지 알 수가 없어답답하기만 하세요? 아니면 재테크는 하고 싶지만 아직 학생이기 때문에, 그리고 수입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나중에 하지 뭐...' 이런 생각을 하고 계시 지는 않나요? 지금부터 재테크의 기본부터 깔끔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어렵게만 생각하지 마세요. 읽어만 보아도 나중에 꼭~! 도움이 될 거예요. [한 푼 두 푼, 알뜰하게 모으는 게 바로 재테크의 시작!] 내 용돈과 월급을 넣어 놓는 MMF와 CMA '월급은 CMA와 MMF에!" 라고 주변에서 조언해 주는데 무슨 말인지 알쏭달쏭 @.@ CMA와 MMF는 둘 다 단기적인 수시 입출금이 가능한금융상품으로하루만 맡겨도 은행의 정기예금에 해당하는 고금리이기 때문에 짧은 기간동안 자금을 운영하는데 아주 좋은 상품이랍니다. 가입조건에 제한이 없어 부담없이 천 원, 이 천원 넣을 수도 있고, 인터넷 뱅킹이나 은행 CD기로도 이용할 수 있어서 편리한 거래가 가능해요. 은행에 예금을 했을 경우, 이율은 평균 0.1% 내외지만 CMA/MMF는 가입기간이나 예치해 놓은 금액에 관계없이 무려 4%대의 이자가 붙는 답니다. 예를 들어 평균적으로 잔고가 100만 원이라고 했을 때 은행에서는 1년 동안 천 원정도의 이자가 붙지만 CMA/MMF는 4만 원이 붙는다는 말이죠. ^^ 정말 대단하지 않나요? 예치 금액이 커질수록 이자의 차이도 커지고, 카드대금 등의 자동이체 설정도 가능해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니 급여통장이나, 용돈을 보관해 놓는 용도로 이용해 보세요. >>떴다! CMA는 지금 인기몰이 중!>>알면 알수록 상큼한 CMA 서비스~ >>월급통장만 바꿔도 이자가 우수수>>하루만 맡겨도 4%이자! CMA 총정리 CMA/MMF 투자하기 전에 잠깐~! 종금사의 CMA만 예금자 보호법에 의해 5,000만 원까지 보호되고요, MMF는 보호받지 못합니다. 일단 가입하기 전/후에 운영사의 홈페이지 등에서 자신이 가입한 상품이 위험한 곳에 투자되고 있지는 않은지 확인해 보세요! [작은 차이라도 모이면 큰 법! 어느 날 통장 잔고를 보고 놀랄 날이 생길 거에요] 변동금리가 불안하다면 확정금리인RP! 다른 건 그래도 들어본 것 같은데 RP는 왠지 생소하시다고요? RP 역시 수시로 입출금이 가능면서 4%대의 금리가 확정되어 있는,더욱 안정된 수익을 보장하는 상품입니다. RP는 자유약정형 RP(수시입출금식)와 약정형 RP(일정기간 약정을 통해 가입), 이렇게 두 가지로 나뉘어요. MMF나 CMA처럼 기간에 제한 없이 수시로 입출금하면서,확정된 금리를 원한다면 자유약정형을~ 투자기간을 1개월, 3개월 등으로 구분할 계획이라면 약정형 RP를 선택하는 게 좋아요. 물론 중도 해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몇 개월 동안 확정금리형 상품을 원할 때 한 번 차근차근 살펴보세요. 투자 기간에 따라달라지지만 RP 금리는 보통 연 3.9%~4.7%로, 판매사에 따라차이가 있어요! 꼭증권사 사이트를 찾아다니며 비교해 보고 투자하세요~ RP 투자하기 전에 잠깐~! RP는 안정적인 국채 등에 투자하지만 원금비보장 상품이랍니다. 그러니 매입하기 전, RP에 편입된 채권내역을 확인해 보세요. [잘 고른 금융상품 하나, 로또가 안 부럽다~! (많이 과장했나요?^^;)] 아인슈타인도 극찬한 복리의 마법! 많은 사람이 재테크를 계획하다가 '언제 그 돈을 다 모으나!'하는 생각에 먼저 포기해 버리곤 하는데요, '복리의 마술'을 알면 아마 생각이 달라지실 거에요. 아인슈타인이 '인류의 가장 위대한 발명품'이라고 극찬하며 세계 8대 불가사의라고까지 불렀던 '복리의 마술'! 한 번 알아볼까요? [단리와 복리는 무슨 차이일까?] * 단리: 원금에 대해서만 약정된 이자율과 기간을 곱해서 이자를 계산하는 방법.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가 발생하는 것. * 복리: 일정기간마다 이자를 원금에 합쳐 그 합계금액에 대한 이자를 재계산하는 방법. 복리는 [원금+이자]에 이자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것. 실제적인 예를 들어 보자면...만약 월 이자율이 0.5%로 100 만 원씩 부었을 경우, 1~2년은 큰 차이가 없지만 만약 30년을 투자하면 어떻게 될까요? * 단리로 투자할 경우 30년 후 총 원리금 : 2,800,000원 * 복리로 투자할 경우 30년 후 총 원리금 : 6,022,575원 짜잔~! 복리의 마법은 바로 인내와 시간의 힘에 있답니다! 단리의 경우는 30년을 투자 해도 겨우 원금의 2.8배밖에 안되지만, 복리는 무려 6배가 되요! 어떠세요? 조금씩 목돈의희망이 보이나요? 지금도 늦지 않았어요. 지금 시작하면 희망이 이루어 질 수 있답니다!^^ >>복리의 마법, 72법칙! >>마법의 복리효과, 어떻게 해야 할까? [기본부터 알고 가는 게 바로, 알짜배기 재테크 상식!] 재테크, 무작정하지 말고 목표를 세우자! 막연하게 '부자가 돼야지~'라는 생각으로는 부자가 될 수 없어요. 5년 안에 1억을 만들겠다 라던지, 월 10만 원씩 적금을 더 붓겠다는 등, 구체적인 목표가 필요해요. 그리고 우리가 흔히 저지르는 실수! 백화점 사은품을 받기 위해 필요없는 물건을 더 구입하곤 하죠. ^^ 부자가 되려면 더 많이 버는 것보다 더 적게 쓰는 것이 중요해요. 쓰고 남은 돈을 저축하는 게 아니라, 저축하고 남은 돈을 쓴다는 생각으로 미래를 위한 투자를 하세요!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르다는 거, 아시죠? 지금 당장 목돈이 없더라도, 꾸준한 저축으로 종자돈을 모으고, 제2금융권 상품, 고수익 상품에 재투자하다 보면 어느새 늘어난 자산을 볼 수 있을 거에요. 실전! 30만 원으로 재테크하기 매달 30만 원의 여유가 있다면 어떻게 재테크 할 수 있을까요? 하나, 수시로 입출금하면서 이자를 받을 수 있는 금융상품을 개설하기(CMA/MMF/RP). (단, MMF와 RP는 가입금액이 설정되어 있는 것도 있기 때문에 학생인 경우, 은행처럼 쉽게 사용할 수 있는 CMA 추천) 둘, 적금은 필수! 금리가 놓은 제2금융권에 적금통장 개설하기 셋, 10만 원은 적립식 펀드 등에 과감한 투자! (하지만 펀드에 대한 공부는 필수) >> 더 재미있고 다양한 소식이 보고싶다면? 바로 클릭하세요!! 출처 : http://paper.cyworld.nate.com/cyletter/1905412 |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2년된 수녀 시신. (0) | 2006.12.09 |
---|---|
시 한 편. (0) | 2006.12.05 |
인류의 도전 (0) | 2006.11.26 |
내 아내에게 애인이 생겼으면 좋겠다. (0) | 2006.11.20 |
아내여! 깨어나라. (0) | 2006.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