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ealth& Clinic

수족구[대처법]

수족구 증후군은 주로 콕삭키바이러스 A군 16형이나 엔테로바이러스 71형으로 생기는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성 질환이다. 이 병은 여름철이나 가을철에 더 많이 유행하고 소아들과 성인들에게 생길 수 있다. 이 병으로 입안 점막에 붉은 밥점이 생길 수 있고 손, 발 등에 반점이 생길 수 있다.

대변 속에 있는 콕삭키바이러스나 엔테로바이러스가 입을 통해 인체에 감염되거나 호흡기에서 나오는 비말을 통해 사람에게 감염되든지 분만중 산모로부터 아기에게 전염될 수도 있고 때로는 가구 등을 통해서도 전염될 수 있다.

이 병에 걸리면 붉은 발진이 인두 점막, 입 안 점막, 손바닥과 발바닥 등에 날 수 있기 때문에 이 병을 수족구병 또는 수족구 증후군이라 한다.


증 상


수족구병으로 발진이 손과 몸에 나 있다

수족구병으로 발진이 손바닥에 나 있다


수족구병으로 생긴 구강점막 발진
이 예에서는 헤르판지이나 아프타스 궤양과 감별진단 해야한다

수족구병으로 생긴 구강점막 발진


수족구병으로 생긴 구강점막 발진

수족구병으로 생긴 구강점막 발진과 손 바닥 발진

다양한 증상이 나타 날 수 있다.

이 병을 일으키는 콕삭키바이러스나 엔테로바이러스는 전염성이 아주 강하다. 그 바이러스가 집안 식구들 중 한두 사람에게만 감염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그 집안 식구들에게 동시 감염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똑같은 증상이 똑같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그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수족구 증후군만, 수족구 증후군과 위장염, 수족구 증후군과 호흡기 전염병 등이 동시 생길 수도 있고 피부 발진은 나타나지 않고 목안이 아프거나 피곤하거나 근육통 등 비특이성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그 콕삭키나 엔테로바이러스가 같은 동네에 사는 다른 사람들에게 전염되어 그 동네에서 사는 여러 사람들이 같은 때 같은 증상으로 앓을 수 있다.

그 바이러스에 감염된 후 4~6일간 잠복기를 거처 수족구 증후군의 증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초기에는 미열, 식욕감퇴, 피곤, 복통 등의 증상이 있을 수 있고 그 다음 1~2일 후 손바닥과 발바닥, 입 안 점막, 잇몸, 입천장, 혀 등에 3~5mm 직경의 붉은 반점이나 궤양, 수포 등이 생길 수 있다.

이런 발진은 몸통, 엉덩이, 팔, 다리, 얼굴, 배 등에만 날 수도 있다. 때로는 이런 반점이 입안에만 나거나 몸통에만, 또는 팔 다리의 피부에만 날 수 있다. 또는 손 발에만 날 수 있다. 발진의 중앙부에 작은 물집이 잡혀 있을 수 있다.

드물게 이 증후군을 일으킨 바이러스가 뇌수막에 침입해서 무균성 뇌수막염, 뇌에 침입해 바이러스성 뇌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런 합병증이 없는 한 며칠동안 조금 앓다가 회복 되는 것이 보통이다.


수족구병으로 생긴 발바닥 발진
참고문헌: Robert michel MD, University of Virginia

수족구병으로 생긴 발바닥 발진


진 단


병력, 증상, 진찰소견 등을 종합하여 이 병을 진단한다. 목구멍 점막에서 점액이나 대변 등을 채취해서 바이러스 배양을 해서 확진할 수 있으나 그런 비싸고 복잡한 진단 방법은 보통 쓰지 않고 임상적으로 진단한다.


치 료


이 병 치료에 특효약이 없다. 따라서 대증치료를 한다. 열이 나면 타이레놀로 해열시키고, 몸이 아프면 타이레놀로 진통시킨다.

식욕이 없고 배가 아프고 설사 등의 증상이 있으면 페디아라이트 등의 경구용 전해질용액이나 고기 국물이나 소다수, 과일 주스, 죽 같은 전유동식이나 반유동식을 1~2일간 조금씩 자주 증상의 정도에 따라 먹다가 병세가 좋아지면 1~2일 동안에 보통 음식으로 바꾼다. 합병증이 생기지 않으면 잘 났는다.


격 리


환자의 소화기와 호흡기 등에서 나온 분비물 등에 있는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이 병에 전염될 수 있다. 식구들 중 이 병을 앓는 식구를 격리하는 것이나 음식물을 같이 안 먹는 것은 실제로 별 효과가 없다.

잠복기는 4~6일이다.

손을 깨끗이 씻는 것은 좋은 예방 방법이다.

예방접종 약은 없다.


다음은 수족구병에 관한 소아 건강삼담 질의 응답의 예 1 입니다.


수족구

만4년 3개월되는 딸아이가 수족구에 감염되었습니다.

소아과에서 달리 연고같이 바르는 약은 효과가 없다고 하여 감기증상에 대한 처방을 받고 약을 조제해 왔는데요,
수족구가 전염성이 있다는데 어떤 경로로 전염이 되는지,( 밑으로 동생이 있거든요.) 또 예방책과 한번 감염된 아이는 다시는 감염이 안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한여름의 날씨인데도 소아과에 아기 환자들이 많아서 더이상 자세하게 물어볼수도 없는 상황이어서 그냥 돌아왔는데, 집에 돌아와서는 궁금증을 떨칠수가 없어서 문의 드립니다.

인터넷상에 수족구에 관한 정보가 올라와 있지 않네요.
바쁘시겠지만 자세한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



김00 님께

안녕하십니까. 질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녀의 나이와 성별, 과거 현재 가족의 병력, 증상 증후와 진찰소견, 적절한 임상검사 등의 결과를 종합해서 진단 치료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주신 정보를 참작해서 답을 드립니다.

수족구 병은 영어로 Hand- Foot- Mouth Disease 또는 Hand- Foot- Mouth Syndrome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수족구병 또는 수족구 증후군이라고 불러야 맞는 말입니다.

수족구 병의 원인은 enterovirus입니다.

엔테로바이러스는 여러 군으로 나누어지고 또 그 군은 여러 종으로 나누어집니다.

그 중 한두 가지의 바이러스에 의해서 이 병이 생깁니다. 엔테로바이러스는 겨울철에 감기를 일으키는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와 같이 많은 종류가 있고 또 그 각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여러 종류의 전염병이 생길 수 있습니다.

수족구병은 겨울철에 앓는 감기와 같이 합병증이 없는 한 아주 경한 전염병입니다.

물론 치료는 대증치료를 합니다.

예를 들면 열나면 타이레놀로, 구토를 하면 위장이 쉬도록 전 유동식 내지 반 유동식 들으로 처음 얼나동안 치료하면서 관찰하는 치료가 전부입니다.

구토를 하는 동안 처음 1-2일 동안 전유동식 내지 반유동식 등을 먹고 병의 경과가 좋아지면 평소 먹던 음식물로 바꾸면서 음식조절을 해서 치료합니다.

홈페이지[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 소아가정간호 백과]- 전염병 질환 편-수족구병, 에코바이러스성 전염병, 엔테로바이러스(장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소화기 질환 편-엔테로바이러스성 전염병과 위장염 등을 참조하세요.

그리고 소아과에서 진찰 진단 치료를 받고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질문이 더 있으면 또 방문하세요.

감사합니다.

이상원 드림

Copyright ⓒ 2004 John Sangwon Lee, M.D., FAAP


다음은 수족구병에 관한 소아 건강삼담 질의 응답의 예2 입니다.


수족구에대하여

저는 직장다니는 엄마입니다. 그런데 얼마전에 작은 아이가 미열이 생기더니 수족구에 걸렸어요.

수족구는 전염병이라 들었는데 큰 아이에게도 전염이 되는지요.
그리고 물집이 먼저 생기는지 아니면 빨간점이 먼저 생기는지요.
어떻게 하면 좀더 빨리 나을수 있을까요.

----------------------------------



김00 님께

안녕하십니까. 질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녀의 나이와 성별, 과거 현재 가족의 병력, 증상 증후와 진찰소견, 적절한 임상검사 등의 결과를 종합해서 진단 치료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주신 정보를 참작해서 답을 드립니다.

수족구병은 바이러스로 인해 생기는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병입니다. 그 바이러스를 죽이는 약은 없습니다.

따라서 자연적으로 치료될 때까지 기다리면서 대증치료하는 것입니다.

붉은 반점이 먼저 생기고 수포가 생기는 것이 보통입니다.

홈페이지[부모도 반의사가 되어야 한다- 소아가정간호 백과- 전염병 질환 편-수족구병 등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소아과에서 진찰 진단 치료를 받고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질문이 더 있으시면 다시 연락 주세요.

감사합니다.

이상원 드림

Copyright ⓒ 2004 John Sangwon Lee, M.D., FAAP




다음은 수족구병에 관한 소아 건강삼담 질의 응답의 예 3 입니다.


수족구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어린이집 교사입니다...

저희 어린이집 4세 여아가 입안이 헐고 밥도 잘 먹을 수 없고 손에 반점이 생겨 병원에 갔더니 수족구라고 합니다.
그런데... 의사 선생님도 아시겠지만 교사들의 의학적 지식은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저희들의 전공 분야가 아닐뿐더러 인터넷 상에서 찾을 수 있는 정보도 전문 용어가 많아 사실 병에 대한 지식이 없는 편입니다.

그래서 저희들이 할 수 있는 최선의 일은 부모님께 빨리 연락을 취해 증상에 대해 있는 그대로 설명해 드리는 게 고작입니다.

몇일전 그 여아의 어머니께서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내시는 겁니다. 완치 되지도 않은 아이를요~
물론 아이를 딱히 맡길 곳이 없는 어머니의 입장은 이해하지만 대부분의 어머니께서 직장에 나가시는데... 이 아이로 인해 다른 아이들이 수족구에 걸리게 되면 모든 어머니들과 아이들이 힘들어 할 것 같아 집에서 봐 주시길 부탁 드렸습니다.

그랬더니... 어머니께 선생님은 의사 아니면서 의사 선생님이 보내도 된다고 했는데 왜 그러냐고 아이를 그냥 두고 가셨거든요...

일주일이 지난 오늘 어린이집에 또 다른 아이들 2명이 수족구로 결석을 하게 되었습니다.
저희 어린이집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많은 이들이 찾는 소아과에서 의사 선생님이 그러시더군요...

감기도 바이러스의 일종인데... 감기 걸렸다고 학교 안 가나요? 그것도 똑같은 거니까 괜찮다고 보내라고 하셨다는군요...
병원에선 저희들이 전문적인 지식이 없어 잘~ 모른다면서 아주 무시하는 처사를 보이시는데요... 모르는건 사실입니다... 무시하시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아이들이 아프진 않아야 하지 않겠습니까?

정말 수족구나 감기나 별반 다를게 없는 건가요?
이런 경우엔 어떻게 하는 게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수족구에 대해 알아보려고 자료 검색을 하던중에 이렇게 궁금해 글 올립니다...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김00 님께

안녕하십니까. 질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자녀의 나이와 성별, 과거 현재 가족의 병력, 증상 증후와 진찰소견, 적절한 임상검사 등의 결과를 종합해서 진단 치료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주신 정보를 참작해서 답을 드립니다.
아주 좋은 질문을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수족구란 말은 수족구병(hand, foot and mouth disease)을 의미하시는 것인지요.
요즘 수족구 증후군((hand, foot, and mouth syndrome)이란 말을 쓰기도 합니다.
이 병은 엔테로바이러스(Enterovirus)에 의해서 생기는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병의 일종입니다. 엔테로바이러스를 장 바이러스라고도 합니다. 엔테로바이러스에는 콕삭키바이러스, 에코바이러스 그리고 소아마비 바이러스 등이 있습니다.

수족구병은 콕삭키바이러스(Coxsackievirus) A16 감염이나 엔테로바이러스(enterovirus) 71 감염으로 인해 생기는 바이러스성 전염병입니다.
이 바이러스로 인한 전염병을 앓는 사람들의 호흡기와 소화기 등에서 나오는 분비물이나 대변을 통해서 다른 사람들에게 주로 감염됩니다.

인체에서 나온 이 바이러스는 상당한 기간 동안 가구 등에 묻어 살아 있다가 다른 사람들에게 감염될 수 있습니다.

어린아이들은 이 병에 가장 잘 걸립니다. 그리고 경제적으로 빈곤하고 위생적으로 불결한 환경 속에서 사는 아이들에게 더 잘 생깁니다. 가을과 여름 철에 이 병은 더 잘 유행합니다.

이 병을 앓은 후에도 수 주동안 호흡기와 소화기 등을 통해서 다른 사람에게 그 바이러스가 감염됩니다. 또 아무 증상이 없이 이 바이러스를 보균한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전염시킬 수 있습니다.

잠복기는 3-6일입니다.

이 병에 특효약은 없고 대증치료를 합니다.

이론적으로 이 병을 앓는 학동들은 학교에 갈 수 있고 어린이 집 아이들도 어린이 집에 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병을 앓는 아이들이 다른 아이들에게 그 바이러스를 전염시킬 수 있는 가능성은 많습니다. 이 병을 일으킨 바이러스가 수족구 증후군을 일으키지 않고 위장염만 일으킬 수도 있고 그로 인해 설사, 구토, 탈수, 복통, 근육통 등의 증상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때로는 호흡기 전염병을 일으킬 수도 있고 그로 인해 감기와 비슷한 증상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드물게는 이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바이러스성 뇌수막염, 뇌염 등도 생길 수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바와 같이 이 병을 앓는 아이들을 어린이 집에 보낼 수는 있지만 전염시킬 가능성이 가장 적을 때까지 부모가 집에서 간호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그러나 이 병을 앓는 아이들을 어린이 집에 보내지 않아도 다른 아이들이 이 바이러스를 다른 데서 감염되어 앓을 수 있습니다.

이런저런 문제로 미국 탁아소에서도 계속 논쟁이 생기고 있습니다. 때에 따라 민사 소송 문제도 생깁니다.

어린이 집을 운영하는 방침을 국가와 그 지방의 법에 준해서 미리 제정해서 아이들의 부모들과 어린이 집 운영 당국이 계약상으로 체결해서 운영해야 할 문제입니다.

항상 이런 문제가 생기면 문의할 수 있는 의사를 정해 놓아야 합니다. 이런 문제가 생길 때 상반되는 법적 해결 방법이 있어서는 안 됩니다.

한 가지 예를 들겠습니다. 건강한 어린이 집 아이가 옆에 있는 다른 아이로부터 어린이 집에서 바이러스에 걸려 뇌염에 걸려 죽었을 때 소송사건이 생길 때는 누가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 등을 성문화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합니다.

따라서 변호사의 자문도 필요합니다.

'Health& Clin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리카락을 슬프게 하는 것들  (0) 2006.07.23
잠자는 습관으로 보는 질환들  (0) 2006.07.19
중독성 없는 `먹거리 수면제`  (11) 2006.07.03
철분  (0) 2006.06.27
토마토  (0) 2006.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