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혈성 심장질환과 영양
허혈성 심장질환과 영양허혈성 심장질환의 식사관리는 고지혈증, 고혈압, 흡연, 비만, 당뇨병, 운동부족 등과 같이 허혈성 심장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들을 조절하는 식사이다. 고지혈증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1일 총 지방 섭취량을 조절하고 콜레스테롤과 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동물성 지방의 섭취를 줄인다. 한편 트랜스지방은 좋은 콜레스테롤인 HDL-콜레스테롤의 혈중 농도는 낮추고, 나쁜 콜레스테롤인 LDL-콜레스테롤의 혈중 농도를 높이므로 식물의 원료라 할지라도 쇼트닝, 마가린의 사용을 피하고 이들의 함량이 높은 도우넛, 각종 비스킷이나 케이크류, 스낵류의 섭취를 제한한다. 혈압 조절을 위해서는 식사 내 소금 섭취량을 줄인다. 젓갈이나 장아찌와 같은 염장식품 외에도 국, 찌개 국물이나 김치 등에 소금 함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