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soriaudio.com/zboard/data/b_free/1184297126/25.jpg)
![](http://www.soriaudio.com/zboard/data/b_free/45.jpg)
" 예일대 박사 " 후광에 모두 눈 멀고 귀 멀었다
멋지다! 신정아. 통쾌하다! 신정아.
광주 비엔날레 최연소 예술 감독에 빛나던 신정아 동국대 교수의 학위가 모두 가짜란다. 캔자
스 대학? 다니다 말았다. 졸업도 안 했다. MBA? 경영대학원은 문턱도 안 갔다. 예일대학 박사?
예일대 역시 가지도 않았단다. 그게 끝이란다.
그렇다면? 그는 고졸이다. 고졸의 대학교수다. 고졸의 국제 행사 예술 감독이었다. 미술계에서
잘 나가는 큐레이터였다. 기획상도 받았다(2003년, <월간 미술> 전시기획부문 상). 이렇게 재밌
을 수가?
뒤샹이 변기를 갖다 놓고 예술품이라고 말하자 변기가 예술품이 된 것처럼, 그도 종이 나부랭
이 하나 보여주며 예일대 박사라고 말하자 박사가 됐다. 교수가 됐다. 국제적인 예술 감독이 됐
다.
"나, 예일대 나온 박사야."
이 한 마디에 모두 넘어갔다. 엎드려 모셨다. 물론 그 속에 어떤 '후광'이 옵션으로 딱 달라붙어
있었는지야 모르지만.
그는 미국 유명대 '졸업장'이 곧 말이요 진리임을 보여줬다. 대한민국 학계나 미술계에 필요한
건 능력이 아니었다. 졸업장이었다. 가만있어도 모두가 그 이름만 들으면 엎드려 차마 쳐다보
지 못하는 그 광채로 빛나는 아이비리그 졸업장이었다.
그 빛이 얼마나 찬란한지, 그 후광에 모두가 눈멀고 귀멀었다. 납작 엎드리고 받들어 모셨다.
그 후광이 혹시 '쌍라이트'가 아니라 인공조명인지 의심하던 대학 이사 하나는 그 날로 잘렸다.
누가 감히 그 빛의 진위를 의심하랴? 누가 감히 아이비리그의 빛에 토를 달랴? '학벌'의 빛은 모
든 것을 능가한다.
그가 그걸 증명했다. 또 정확히 이용했다. 그야말로 '블루오션'을 개척했다. 틈새 전략을 폈다.
미술계와 학계의 '학벌'이란 뻥 뚫린 틈을 그가 정확히 파고들었다. 그가 땄다던 MBA가 가짜라
는 게 대수냐? 그가 보여준 능력은 MBA 저리 가라다. MBA가 대수냐? 한 번 하면, 고졸도 MBA
보다 잘할 수 있다. 그가 보여줬다.
어쨌든 사람들은 이름 하나에 넘어갔다. '예일대'라니까 넘어갔다. 홀딱 넘어갔다. 국내 유수의
미술관이 넘어가고, 대학이 넘어갔다. 구렁이 담 넘어가듯 넘어갔다. 의혹은 있어도, 검증은 없
다. 학벌은 위대하다. 이 외국물 먹은 '간판'은 위대하다. 이 사건은 그가 보여준 한 편의 쇼다.
아니 '예술'이다.
피카소도 말했다. "예술은 우리로 하여금 진실을 깨닫게 만드는 거짓이다."
신정아, 그가 한 일이야말로 '예술'이다. '학벌'이란 간판'이나 따지는 미술계의 진실에 대한 퍼
포먼스다. 그는 온 몸으로 '예술'했다.
그가 평소 비판했다던 학벌 위주 풍토를 확실하게 보여줬다. 그깟 학위가 별거냐? 고졸이 어때
서? 미국 유명대 박사 아니어도 큐레이터 할 수 있다. 대학 강의만 잘한다. 그가 몸소 증명했다.
상도 받았잖나? 그게 그의 능력이 아니라면, 미술계가 이젠 상도 대학 졸업장 보고 준단 소리 아
니겠나? 이처럼 기막히게 현실을 풍자하는 멋진 행위예술을 본 적 있나? 난 처음이다. 아니, 처
음 같다.
그는 미술계의 황우석이 아니다. 그는 미술계의 서태지다. 음악계에 중졸 서태지가 있다면, 미
술계엔 고졸 신정아가 있다.
그를 이제 전시기획자로 부르지 마라. 그야말로 예술가다. 진정한 아티스트다. 이건 단순 '사
기'가 아니다. 진짜 예술이다. '학벌'에 목맨 우리 사회를 풍자하는 한 편의 '생쇼'다. 미술계와
학계가 총출동한 한 편의 대형쇼다.
멋지다, 신정아. 잘했다, 신정아. 속이 다 시원하다. 이렇게 재밌을 수가 없다.
오마이뉴스 조은미 기자 (폄)
예술은 " 사기" 라고백남준 선생이 말을 했는데.. 선생님이 가장 통쾌하게생각 하지 않을 까 합니다...
아이 같이 천진한 조롱을 많이한그 분이갑자기 생각이 나네요... 재미 있습니다..
참 !글비틀어 통쾌하게잘 쓰셨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