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kr.img.blog.yahoo.com/ybi/1/09/b5/kbm8255/folder/2245451/img_2245451_959027_14?1101390244.jpg)
고종황제
![](http://kr.img.blog.yahoo.com/ybi/1/09/b5/kbm8255/folder/2245451/img_2245451_959027_23?1101390244.jpg) 고종황제
![](http://kr.img.blog.yahoo.com/ybi/1/09/b5/kbm8255/folder/2245451/img_2245451_959027_21?1101390244.jpg) 고종황제
![](http://kr.img.blog.yahoo.com/ybi/1/09/b5/kbm8255/folder/2245451/img_2245451_959027_8?1101390244.jpg) 고종황제
![](http://kr.img.blog.yahoo.com/ybi/1/09/b5/kbm8255/folder/2245451/img_2245451_959027_18?1101390244.jpg) 고종황제
![](http://kr.img.blog.yahoo.com/ybi/1/09/b5/kbm8255/folder/2245451/img_2245451_959027_2?1101390244.jpg) 고종황제
![](http://kr.img.blog.yahoo.com/ybi/1/09/b5/kbm8255/folder/2245451/img_2245451_959027_13?1101390244.jpg) 고종과 순종. 조선시대 왕과 왕세자가 입었던 붉은색 곤룡포 차림으로 1890년무렵의 모습이다. 아직 국호가 대한제국으로 바뀌기 전이라, 고종이 황제가 아니기 때문에 황룡포가 아닌 홍룡포 차림이다
![](http://kr.img.blog.yahoo.com/ybi/1/09/b5/kbm8255/folder/2245451/img_2245451_959027_1?1101390244.jpg) 고종황제와 신하들의 모습.
![](http://kr.img.blog.yahoo.com/ybi/1/09/b5/kbm8255/folder/2245451/img_2245451_959027_16?1101390244.jpg) 1910년 한일병탄 직후 덕수궁 석조전 앞에서 자리를 함께 한 조선총독부 고위관리들과 대한제국 황족들. 앞줄 가운데 모자를 벗은 사람이 고종 황제이고, 그 오른쪽이 순종, 고종의 왼쪽은 영친왕이고, 그 옆은 데라우치 초대 조선총독.
![](http://kr.img.blog.yahoo.com/ybi/1/09/b5/kbm8255/folder/2245451/img_2245451_959027_10?1101390244.jpg) 고종이 대한제국 초기 러시아 황제에게 보낸 국한문친서. 고종은 1909년 초 국외망명을 시도할 정도로 일제의 한국침략에 강경하게 맞선 군주였다.
![](http://kr.img.blog.yahoo.com/ybi/1/09/b5/kbm8255/folder/2245451/img_2245451_959027_0?1101390244.jpg) 일본 관리들이 쓰는 모자와 의상을 입고 궁궐을 나선 고종. 왕의 행차때 사용하는 일산을 받쳐들고 있지만 어가를 매고 있는 사람들은 일본인들이다. 1919년 촬영.
![](http://kr.img.blog.yahoo.com/ybi/1/09/b5/kbm8255/folder/2245451/img_2245451_959027_5?1101390244.jpg) 1919년 집무를 보기 위해 겨울옷을 입고 선원정에서 인정전으로 나서고 있는 고종황제의 모습
![](http://kr.img.blog.yahoo.com/ybi/1/09/b5/kbm8255/folder/2245451/img_2245451_959027_15?1101390244.jpg) 러시아 공사관 내 고종 황제 거실. 황제용 더블 베드-황태자용 싱글 베드-응접 세트가 전부였고, 옆 방에서 상궁 둘이 번갈아 기거하며 수발을 들었다.
![](http://kr.img.blog.yahoo.com/ybi/1/09/b5/kbm8255/folder/2245451/img_2245451_959027_11?1101390244.jpg) 고종이 파천해 집정할 당시의 러시아 공사관.
![](http://kr.img.blog.yahoo.com/ybi/1/09/b5/kbm8255/folder/2245451/img_2245451_959027_4?1101390244.jpg) 고종황제의 후궁 양씨(1882년생, 덕혜옹주의 생모).
![](http://kr.img.blog.yahoo.com/ybi/1/09/b5/kbm8255/folder/2245451/img_2245451_959027_20?1101390244.jpg) 엄황귀비. 명성황후의 상궁으로 있다가 명성황후 시해사건 이후 고종황제를 모셨고, 이어 왕자 은(영친왕)을 낳았다. 1906년에 진명여학교를 설립, 한국 근대교육사업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http://kr.img.blog.yahoo.com/ybi/1/09/b5/kbm8255/folder/2245451/img_2245451_959027_22?1101390244.jpg) 권오창화백이 그린 명성황후 진영.
![](http://kr.img.blog.yahoo.com/ybi/1/09/b5/kbm8255/folder/2245451/img_2245451_959027_3?1101390244.jpg) 1903년 11월 29일자 [보스턴 선데이 포스트]지에 보도된 고종황제와 미국인 에밀리 브라운양 결혼 기사. [유일한 미국인 황후 어떻게 대관했는가]라는 제목으로 브라운양의 클로즈업된 모습과, 고종과 브라운 양이 일산(日傘)으로 가린 연(輦.임금의 수레)을 타고 궁을 나오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http://kr.img.blog.yahoo.com/ybi/1/09/b5/kbm8255/folder/2245451/img_2245451_959027_6?1101390244.jpg) 대한문 앞을 지나고 있는 고종황제의 국상행렬.
![](http://kr.img.blog.yahoo.com/ybi/1/09/b5/kbm8255/folder/2245451/img_2245451_959027_17?1101390244.jpg) 고종황제 국장때 바닥에 엎드려 통곡하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
![](http://kr.img.blog.yahoo.com/ybi/1/09/b5/kbm8255/folder/2245451/img_2245451_959027_19?1101390244.jpg) 고종황제 국상 전날의 대한문 앞 모습.
![](http://kr.img.blog.yahoo.com/ybi/1/09/b5/kbm8255/folder/2245451/img_2245451_959027_12?1101390244.jpg) 1921년 고종황제 제사때의 모습. 중앙이 순종황제이다.
|